관심사항/NAS

03. 외장하드 설치하기

렬혈땅꼬마 2014. 1. 8. 21:31

자 우리는 순수한 아치리눅스가 설치된 이미지도 만들었겠다, 이제 본격적으로 리눅스의 세계로 빠져들어가 보기 전에...


가지고 있는 외장하드를 ext3으로 포멧하고 마운트 시켜보도록 하자.


http://comta.kr/?p=3058 (콤타님의 강좌) <==포고플러그의 모든것이라도 해도 무방할 정도로 좋은 자료들이 많지만 E02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어서 V4에는 안 어울릴 순 있지만 그래도 아주 유용한 강좌들이 많으니 적극 활용해 보시길 바란다.


위의 링크에서 잘 확인하실 수 있으니 명령어들만 만들고 몇가지 사항들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우선 우리가 사용하는 하드나 메모리는 각자의 파일 시스템이 있다. 윈도우에서 주로 사용되는 fat, ntfs가 있는데 사실 리눅스에서도 두 가지 방식이 모두 사용가능하나, 리눅스는 리눅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ext 포멧이라는 것이 있다. ext2, ext3, ext4 등이 있는데 (안드로이드를 쓰시는 분들은 ext4를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다) 여기서는 ext3 형식으로 포멧해 보도록 하자. 


마찬가지로 아치리눅스로 포고플러그를 부팅한 후 putty를 이용해서 접속하자


그리고


fdisk -l


이라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dev/sda1 어쩌고 저쩌고 /dev/sdb1 어쩌고 저쩌고 하고 나와있을 것이다. 여기서 sdb1이라는 놈이 아마 사용자분의 외장하드가 될 것이다. (용량을 확인할 수 있으니 잘 확인해 보도록 하자)


자 우리는 이제 저 하드를 ext3 형식으로 포멧하고자 하니 중요한(야구 동영상??) 자료들은 미리 백업해 두도록 하자.


umount /dev/sdb1   <===입력하면 아마 마운트 안 되어있어 하며 뜰 것이다.

fdisk /dev/sdb


그리고 d, n, p, 1, 엔터, 엔터를 하면 또  Commond (m for help)라고 나오면 w를 눌러주자


그러면 파티션 테이블이 생겼다. 


mkfs.ext3 /dev/sdb1


을 입력한 후 기다리면 포멧이 되어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자 이제 이걸 마운트 해줘야 한다. 이 과정에서 윈도우의 플러그 앤 플래이가 얼마나 위대한 것인지 알 수 있게 된다.


mkdir /원하는폴더명(필자는 mkdir /media 후 mkdir /media/pogo)

mount -t ext3 /dev/sdb1 /원하는폴더명 (필자는 mount -t ext3 /dev/sdb1)

chmod 777 /원하는폴더명 (필자는 chmod 777 /media/pogo)


이렇게 해주면 마운트까지 완료되었다!


자세한 내용들은 위에 링크된 콤타 강좌에서 잘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다시 한 번 윈도우의 플러그 앤 플래이에 감사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