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사항/NAS

00. Pogoplug Series 4에 Archlinux 설치를 위한 준비운동

렬혈땅꼬마 2014. 1. 7. 20:04
사실 순정 pogoplug로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 주로 많이 사용하는 버전이 E02 인 듯하다. 가장 많은 정보가 있고 한방팩(?)이라는 것이 존재해서 접근하기 쉬운것도 사실인 듯 하다. 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괜찮은 녀석이 이 시리즈 4(이하 V4)이다. CPU 성능이나, 메모리 등은 위의 E02보다 모자란 것은 사실이나, 이녀석은 USB 3.0을 지원한다.(후면 2포트) 앞으로 많이 사용하게 될 USB 3.0을 미리 맛보는 것도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되고 또한 이번 블랙 프라이데이때 이 녀석이 괜찮은 가격으로 나와서 덥썩 구매했으니....만족스럽다. 우선 이 녀석에게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해 주어야 한다. 이 과정은 어렵진 않지만 시간이 좀 걸리므로 인내를 가지고 한 번 따라해 보자.

준비물로는 포고플러그 V4와 4기가 이상의 USB가 필요하다. (포고리눅스 카페에서는 z35 8G 모델을 추천해서 하나 구입했다.) 

우선 포고플러그 V4의 상단에 있는(투명 커버를 제거하면 볼 수 있음) usb 포트에 해당 usb 메모리를 꼽는다. 그리고 포고플러그에 전원을 넣어보자. 그럼 앞에 LED 등이 깜빡깜빡 거리다가 녹색으로 켜져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 이제 포고플러그가 부팅이 되었다.

여기서 www.pogoplug.com 에 접속해서 포고플러그 순정의 향기를 좀 느껴보자. (사실 별 거 없다. 사진 올리는 정도가 전부니까...) 그리고 여기서 계정을 생성한 후 우측 상단의 setting-security에 들어가서 ssh 활성화를 체크해주고 비밀번호를 생성해주자! 가장 중요하다! 우리는 이제 여기에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설치할 것이다. 어디에? 삽입한 USB에...

그리고 공유기 셋팅에 들어가보면 이 포고플러그가 할당받은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iptime의 경우 공유기 관리자로 접근하는 주소는 192.168.0.1 이다) 거기서 네트워크 상태인가? 뭔가를 보면 MAC 주소에 따라 기기가 할당받은 ip 주소를 알 수 있는데 포고플러그 본체 바닥에 보면 친절하게 MAC 주소가 적혀 있으니 그걸 보고 우리 포고플러그가 어느 주소를 차지하고 있는지 확인을하자. 

그리고 putty 라는 녀석을 다운 받아서 실행해보자.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 그러면 Host Name 라는 부분에서 깜빡 깜빡 거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면 여기에 해당 포고플러그가 차지하고 있는 ip주소를 입력해주자. 아마 뒤에 포트는 22가 되어있을텐데 SSH라는 녀석이 사용하는 기본 포트가 22라고 하니 그건 그냥 두도록하자.

그러면 옛날 그 옛날 DOS를 사용하는 듯한 그런 검은 창에 흰 글씨들이 보일 것이고 뭔가 작업을 할 수 있을 것만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자 이제 아치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는 기본 작업은 끝났다. 이제 다음 편에는 본격적으로 설치를 해보자!


p.s. 사실 필자도 컴터 개념이 그리 뛰어나진 않아서...putty가 뭔지, ssh 가 뭔지 정확하게 설명할 순 없지만. ssh라는 건 포고플러그 내부에 접근하는 어떤 프로토콜? 다리? 가교? 길? 뭐 이렇게 생각하면 될 것 같고 거기에 접근 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가 putty 같다. 필자가 무식해 보여도 돌은 던지지 말고, 필자도 그냥 막무가내로 하다 보니 되길래 독자들도 이 걸 보시고 '아 이 오징어 놈처럼 하니 잘 되는군..'하는 정도로 가볍게 봐 주시면 감사 드릴 것 같다.